검색결과 리스트
글
사용법 :
iconv -c -f 변환대상코드 -t 변환될코드 변환대상코드파일명 > 변환될코드파일명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예를 들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
unicode.txt라는 파일이 있고 euckr.txt라는 파일이 있습니다.
각각 유니코드와 아스키코드로 파일 포맷이 정의되어 있습니다.
유니코드를 아스키코드로 바꿔보겠습니다.
iconv -c -f UNICODE -t euc-kr unicode.txt > changed_euc-kr.txt
위와 같이 쓰게 되면 유니코드 파일이 아스키코드로 변환되어 changed_euc_kr.txt라는 파일이 생성됩니다.
[단, unicode.txt 파일은 변환되지 않습니다. 즉 복사본이 아스키코드로 생긴다는 것이죠.]
이번에는 아스키코드를 유니코드로 바꿔보겠습니다.
iconv -c -f euc-kr -t UNICODE euckr.txt > changed_unicode.txt
내용은 위에서 설명드린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~
'공부방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++]개행문자의 비밀...리눅스에서 개행문자만 지우기 (1) | 2008.10.14 |
---|---|
[Linux] iconv 유니코드를 아스키코드로 변환[파일포맷변환] (1) | 2008.09.23 |
[압축] tar 압축 풀기 (0) | 2008.03.25 |
[펌]리눅스 Make 파일에 대한 모든 것 (초보에서 응용까지) (0) | 2007.11.10 |
눈을 감아봐 입가에 미소가 떠오르면 네가 사랑하는 그 사람이 널 사랑하고 있는거야.